본문 바로가기
공부/품질경영기사

품질경영기사 필기 정리 노트- 3과목 생산시스템 | 자재관리 및 구매관리

by Hamming 2025. 2. 17.
728x90
728x90

자재관리, 생산관리, 공급망관리, ERP시스템, JIT생산, 제조업, MRP시스템, 공장운영, 품질경영

※ 제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나, 보고 유익하셨다면 광고 한번만 눌러주심 감사하겠습니다!

 

기본 개념

개념 설명
자재분류의 원칙
1.점진성: 취급되는 자재의 가감이 용이하도록 자재분류에 융통성을 갖추어야 하는 것.
2.포괄성: 모든 자재가 하나도 빠짐없이 포함될 수 있도록 분류하는 것.
3.상호배재성: 한 자재의 분류항목이 둘이 될 수 없는 것
4.용이성: 가능한 불편하지 않고 기억하기 쉽도록 분류하는 것
원단위 제품 또는 반제품의 단위수량당 자재별 기준소요량
원단위 산출방법 3가지
1.실적치에 의한 방법
2.이론치에 의한 방법
3.시험분석치에 의한 방법
아웃소싱 ,outsourcing 기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능력으로 핵심부분에 집중하고 조직 내부 활동이나 기능의 일부를 외부 조직 또는 외부 기업체에 전문용역을 활용하여 처리하는 경영 기법
위탁구매방식 종류가 많고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값싼 것에 대해서 남품업자 1개사를 지정하여 그 업자에게 모든 것을 맡겨 전문적으로 납품시키는 구매계약방법
시장구매 현재 자재의 가격은 낮지만 앞으로는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구매를 하는 방법
구매업무 능률  및 구매성과 평가의 객관적 기준
1.구입물품의 품질수준
2.예산(원가)절감액
3.납기이행실적
4.구매비용
5.표준단가와 실제단가의 차이
6.구입물품의 가치
7.부과된 벌과금
예상재고, anticipation inventory 경기변동, 계절적 수요변동에 대비한 재고
발주비용
-조사비, 수송비, 입고비, 통관비 등 구매 및 조달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비용
재고부족비용 - 품절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납기지연으로 인한 비용, 재고부족으로 조업을 중단했을 때의 손실액
발주점, Order point, OP - 재발주점, 재주문점이라 하며 조달기간 중의 수요량과 안전재고로 구성됨
더블빈, double bin
-재고 저장공간을 2개로 나눔
-윗칸에는 운전재고, 아랫칸에는 재주문점에 해당하는 재고
-윗칸에 재고가 없으면 재주문점에 이르렀음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MRP 시스템
-독립수요 품목의 종속수요품[부품, 원료, 반제품 ]의 재고관리시스템.
*독립수요품=최상위에 있는 품목=완제품
-소요량 개념에 입각한 종속수요품의 재고관리 방식
-재고수준 통제, 우선순위 통제, 생산능력 통제
-주문의 발주계획 생성
-제품구조를 반영한 계획 수립
-생산통제와 재고관리 기능의 통합
-주문에 대한 독촉과 지연정보 제공
-종속수요품 각각에 대하여 수요예측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음.
-상위 품목의 생산계획에 따라 부품의 소요량과 발주시기를 계산함.
-
-순소요량, net requirements = 주일정계획, MPS 에 의해 발생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 계획된 주문에 의해 충당해야하는 수량.
-순소요량 = 총소요량 현재고량 예정수취량 + 안전재고량
-예정수취량, scheduled receipets: 주문은 헀으나 아직 도착하지 않은 주문량을 의미
-계획수취량, planned receipts: 아직 발주하지 않은 신규 발주에 따라 예정된 시기에 입고될 계획량을 의미.
-발주계획량, planned order releases: 필요시 수령이 가능하도록 구매주문이나 제조주문을 통해 발주하는 수량으로 보통 계획수취량과 동일.
-
MRP 시스템의 입력정보


-자재명세서, Bill of Materials: 최종품목 한 단위 생산에 소요되는 구성품목의 종류와 수량을 나타내는 입력자료
-주생산일정계획,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MPS
-재고기록철, Inventory Record File, IRF
-
로트 사이즈 결정방법
-고정주문량, fixed order quantity: 주문할 때마다 주문량 동일
-대응발주, lot for lot: 순소요량 만큼 발주.
-부부기간, part period algorithm: 주문비와 재고유지비의 균형점을 고려하여 주문
-기간발주량, period order quantity: 사전에 결정된 시간간격마다 주문을 실시하되, 로트 사이즈는 주문할 때마다 이 기간 중의 소요량 만큼 발주.
ABC 재고관리기법
-자재구매나 재고관리에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물품의 가치나 중요도[금액]에 따라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중요한 소수 품목을 중점관리하는 방식
-파레토분석 등을 통해 품목의 중요도 결정
ERP,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기업 자원계획, 전사적 자원계획 [경영자원]
-통합형 업무패키지 소프트웨어
-효율적 업무개선 목적
-Open client server system
-기업주순의 기간업무[생산, 마케팅, 재무, 인사] 등을 지원
-중복업무 배제
-실시간 관리
-EDI, CALS, 인터넷 등으로 기업간 연결시스템을 확립하여 기업간 자원활용의 최적화 추구
 
-자체개발 / ERP 패키지 활용 구분 필요
적시생산시스템, JIT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만큼 생산하는 무재고 생산시스템. 끌어당기기 방식
-생산의 평준화로 작업부하량이 균일해짐 = 소로트화 추구 = 다품종소량생산
-작업자의 다기능공화로 작업의 유연성을 높임
-준비교체시간을 최소화하여 유연성 향상 추구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으로 리드타임 단축
-간판[Kanban]이라는 부품인출시스템 사용 / 재고수준 감소시킴.
-공급자와 긴밀한 유대관계로 사내 생산팀의 한 공정처럼 운영
-자재의 흐름 = pull
-작업의 표준화로 라인의 동기화 달성
-기능적 공구의 채택으로 작업시간 단축
-내적 작업준비를 지양하고 외적 작업준비로 바꿈
-조정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조정작업시간을 단축시킴.
 
-도요다 7대 낭비 재고의 낭비, 대기의 낭비, 과잉생산의 낭비, 운반의 낭비, 동작의 낭비, 불량의 낭비, 가공의 낭비
-공정 간의 운반 – pull 방식
-레이아웃 흐름식 배치, U라인
-작업자세 입식작업

 

비교 내용

 

수식

 

 

728x90